본문 바로가기

Google Analytics UA

Google Analytics 유입(Acquisition) 분석 보고서 살펴보기-Part 1

반응형

 

Google Analytics 보고서에 대해 크게 분류하면,

ABC 입니다.

 

A - Acquisition(유입)에 대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보고서

   ‘웹사이트에 유입되는 트래픽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보고서’

 

B - Behavior(행동)에 대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보고서

   ‘웹사이트에 방문한 사용자가 한 행동을 분석할 수 있는 보고서’

 

C - Conversion(전환)에 대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보고서

   ‘웹사이트에 방문한 사용자의 전환(목표, 전자상거래 등)을 분석할 수 있는 보고서’

 

그 외에 Realtime(실시간 리포트) / Audience(잠재고객, 환경 등) 보고서가 있지만, 핵심은 ‘ABC’ 보고서 입니다.

 

 

이 3가지 보고서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첫 번째는 A에 해당하는 Acquisition 보고서입니다.

유입 보고서에는 말 그대로 웹 사이트에서 발생한 트래픽의 유입경로를 주제로 한 보고서들이 모여있습니다. 추후 보고서에 익숙해지면, 각 보고서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각 보고서가 서로 종속적인 관계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 입니다.

 

GA 보고서는 Dimension(측정기준)과 Metric(측정항목)의 조합으로 구성됩니다. 이 부분은 매우 중요합니다. GA 보고서는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의 조합으로 보고서가 구성되며, 맞춤 보고서를 통해서 자유롭게 조합하여 보고서를 만들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은 해당하는 속성이 있어, 모든 측정기관 모든 측정항목이 조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Sessions(세션)은 유입 관련 속성의 ‘측정항목’ 이기 때문에 Page(페이지)와 같은 페이지 관련 속성의 ‘측정기준’과 결합될 수 없습니다. 맞춤 보고서 혹은 ‘Analysis’ 보고서(GA 360에서만)를 통해 자유롭게 조합할 때 이 부분은 유의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부분에 대한 이해는 GA를 사용하면서, 각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의 속성을 차근차근 이해하게 될 테니 급하게 처음부터 이해할 필요는 없습니다.

 

 

유입 보고서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 봅시다.

유입 보고서는 크게 아래와 같이 분류되어 있습니다.

가장 상단에 있는 ‘Overview’ 보고서는 유입관련 데이터를 한 눈에 보기 쉽게 정리한 보고서입니다. 해당 보고서를 통해 유입관련 데이터를 확인하고 세부적으로 데이터를 살펴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왼쪽 상단의 ‘Primary Dimension’ 에서는 주요 채널 / 주요 소스,매체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Conversion에서는 이커머스 / 설정 목표값 을 선택하여 보고서 구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위 보고서는 ‘Top Sources/Mediums’ 이 측정기준으로 선택되었고, Conversion은 ‘eCommerce’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유입 ‘소스/매체’ 중 2, 3번째로 유입이 많은 ‘소스/매체’의 이커머스 전환율이 0.00%입니다. 유입은 상대적으로 많지만 전환이 되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힌트를 얻어 해당 ‘소스/매체’를 클릭하면 해당 유입에 대해서만 자세히 볼 수 있는 보고서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렇게 이동하여 해당 유입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유입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해당 유입의 랜딩 페이지, 유입 데모그라피, 유입 기기, 평균 페이지로드속도 등과 같은 데이터를 결합하여 분석 하다보면, 해당 유입만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이와 같이 ‘Overview’ 보고서는 유입 관련 데이터를 큰 범주에서 확인하고 더 세부적인 데이터를 볼 수 있는 보고서로 연결하여 보기에 편합니다.

 

 

위 이미지와 같이 보고서 상단을 보면 ‘All Users’와 ‘+Add Segment’ 박스가 보입니다. 말 그대로 세그먼트를 추가하여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세그먼트 기능은 특정 유입 그룹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조건(예를 들면, 특정 페이지에서 영상을 플레이한 유입자와 영상을 플레이 안한 유입자를 비교하여 분석 가능)을 추가하여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세그먼트 기능은 정말 유용하고 좋은 기능이기에 나중에 주제를 잡고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Acquisition Report(유입 보고서)의 오버뷰 보고서만 이야기 했는데도 글이 길어졌네요. 나머지 보고서들에 대해서는 Part 2에서 이어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