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gle Analytics UA

Google Analytics 교차 도메인 추적하기 2 - GTM 방식

반응형

 

 

Google Anlytics에서 교차 도메인 추적을 셋업하기 전에,

앞서 설명 드린 GA가 사용자를 추적하는 방식(Client ID)과 교차 도메인의 정의에 대해 기본적인 내용을 숙지하시면 좋습니다.

 

 

GA 교차 도메인 추적 (GTM 방식) 1 : Client-ID와 필요성

교차 도메인 추적(Cross Domain Tracking)은 말 그대로 도메인이 다른 페이지를 연결시켜주는 것을 말합니다. 교차 도메인 추적을 설명하기 전에 GA에서 왜 교차 도메인 추적이 필요한지에 대해 설명해보죠. 하나..

ph-story.tistory.com

 

GA에서 교차 도메인을 추적하는 방식은 다양합니다.

여기서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설명드리는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GA 추적코드가 GTM(구글 태그매니저)을 통해 설치되어야 합니다.

GTM을 이용한 GA 추적코드 셋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구글 태그매니저(GTM) 설치하기 : GTM으로 GA 추적코드를 셋업해야 하는 이유

GTM으로 GA를 셋업해야 하는 이유 GTM(Google Tag Manager, 구글 태그매니저)은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에서 태그 및 코드를 개발자의 도움 없이 분석담당자나 기획자가 쉽고 빠르게 업데이트할 수 있는 Google에..

ph-story.tistory.com

 

구글 태그매니저(GTM)에서 셋업할 내용은 크게 2가지 입니다.

 

  • 서로 다른 도메인을 연결시켜줄 수 있는 변수 값 생성
  • 추적코드 설정 값에서 교차 도메인 설정

 

하나, 변수 값 생성

1)     GTM에서 변수 메뉴의 ‘사용자 정의 변수’ 영역에서 ‘새로 만들기’를 클릭

 

2)    변수 구성은 ‘상수’를 선택하고, 값 영역에 크로스 도메인 리스트를 입력합니다. 도메인 구분은 ‘콤마(,)’로 합니다

       예) hello.co.kr,hi.co.kr,welcome.co.kr

3)     해당 변수는 크로스 도메인 설정한 값을 정의하는 단계로 이름은 구분하기 쉽게 입력해놓습니다.

4)     이제 저장하면 끝입니다

 

둘, 교차 도메인 설정

GTM으로 GA 추적코드를 설치하였다면, GA 추적 설정 값을 정의하는 변수를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해당 변수가 ‘크로스 도메인’ 추적이 가능하도록 설정해줘야 합니다. 

1)     GTM의 GA 추적코드 설정 변수의 ‘설정한 필드’에 allowLinker를 선택하고 값은 ‘true’ 설정합니다.

2)     하단의 ‘교차 도메인 추적’ 소메뉴의 자동링크 도메인 값에 앞서 만든 ‘변수’를 선택하여 줍니다. 그리고 나머지 값은 모두 ‘거짓’으로 설정합니다.

 

 

이제 GTM 만으로 GA에서 크로스 도메인 추적이 가능하도록 설정 완료했습니다.

GTM에서 수정한 내용은 검토 제출하시고, 세션 단위로 크로스 도메인이 잘 작동하는지 살펴 보면 됩니다.

 우리가 설정한 도메인 간의 이동 시에 하나의 세션으로 GA에서 기록되는 것이 우리가 원하는 것이므로, 테스트 진행 시에는 특정 세션(utm 구분 혹은 Client ID 구분) 세그먼트를 생성하여 테스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