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널리틱스 공식 블로그에서 앱과 웹 사이트를 GA에서 통합하여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는 소식을 전해주었습니다.
지금까지 많은 기업에서 앱을 방문하는 사용자를 분석하기 위해 Firebase 용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기업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는 웹 사이트용 구글 애널리틱스를 통해 분석하고 있었습니다.
이제는 구글에서 앱과 웹을 통합하여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속성 유형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구글에서는 놀랍게도 앱과 웹 사이트를 통합하는 새로운 속성을 만드면서 새로운 GA 보고서 기능도 이 속성에서 추가하여주었습니다. 왜 이 속성에서만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 베타 버전이기에 더 확장될지 어떻게 변화될지 모르겠습니다.
이제 GA에서 새로운 속성을 생성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앱 및 웹’ 속성(베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속성을 만들고, 셋업하여 주면 기존 보고서와는 다른 환경의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환경의 보고서가 기존의 보고서와 다르고, 특히 GA 360(유료버전)에서만 제공하였던 보고서 및 기능을 제공하기에 사람들이 GA의 새로운 버전이라고 말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새로운 속성에서는 어떻게 바뀌었을까요?
첫 번째. 행동 이벤트 자동 태킹
기존 GA에서 아래 행동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이벤트 태그 작업이 필요하였지만, 새 속성에서는 자동으로 아래 행동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게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1) 싱글 페이지 사이트의 페이지뷰 추적 지원
: 기존에는 가상 페이지뷰 이벤트를 별도 셋업 하지 않으면 하나의 페이지로 인식
2) 페이지 스크롤 자동 추적
3) 사이트 외부 링크 클릭 자동 추적
4) 사이트 내부 검색창의 검색어 자동 추적
5) 페이지 내 유튜브 영상 자동 추적
6) 파일 다운로드 자동 추적
두 번째. 기본 보고서 통합 및 GA 360 일부 보고서 추가
앱 및 웹 속성 GA 보고서의 UI 변경 및 기본 보고서 통합 및 GA 360 일부 보고서가 추가되었습니다.
1) 기존 100개 정도의 기본 보고서를 10개의 보고서로 통합
2) 분석 허브 보고서 추가
: GA 360에서만 제공되던 분석 허브 보고서 추가. 분석 허브 보고서로 GA 내에서 데이터스튜디오와 같은 데이터 시각화가 빠르게 가능하게 됨
3) 퍼널 분석 보고서 추가
: GA 360에서만 제공되던 퍼널 분석 보고서 제공. 기존에는 퍼널 분석을 위해 데이터레이어 셋업이 필요하였지만, 새 속성에서는 별도의 작업 없이 퍼널 분석이 가능하게 변경됨
4) 중복 세그먼트 분석 기능 추가
: GA 360에서만 제공되던, 중복 세그먼트 분석 기능 추가
세 번째. 노 샘플링과 빅쿼리 RAW DATA 추출 가능
1) 노 샘플링 : 기존 GA 보고서에서는 일부 경우에서 샘플링된 데이터를 제공하였지만, 새 속성 보고서에서는 GA 360과 동일하게 샘플링되지 않은 데이터를 제공
2) RAW DATA 추출 : GA 360에서만 제공하였던, 구글 빅쿼리 RAW DATA 추출 기능 추가. 빅쿼리를 통한 RAW DATA를 추출하여 CRM 데이터와 통합 분석이 용이해짐.
네 번째. 크로스 플랫폼 사용자 중심 분석 보고서 제공
기존 GA에서 user-ID를 셋업하여 분석 가능하였던 크로스 플랫폼 분석이 새 속성에서는 자동으로 데이터 수집됨. 또한 user-ID를 셋업하여 분석하는 것보다 좀 더 유연하게 작동한다고 함(이 부분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신규 속성 보고서의 제한 사항도 있습니다.
l 데이터 보관이 최대 14개월(기존 보고서는 영구 보관) *GA 360 RAW DATA 영구 보관
l 기존 전자상거래 보고서 미지원(거래수만 가능, 상품 구분 불가) *GA 360 전자상거래 지원
l 써치 콘솔 연동 미지원 *GA 360 써치 콘솔 지원
l 데이터스튜디오 연동 미지원 *GA 360 데이터스튜디오 지원
지금 GA 무료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면, 신규 속성 보고서를 추가하여 기존 속성과 함께 봅시다
기존 속성을 신규 속성으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신규 속성을 생성하여 데이터를 중복 수집하여 2개의 속성을 같이 보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 GA 360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냥 잘 사용합시다
GA 360은 신규 속성 보고서의 제한사항이 모두 없습니다. 또한 매체 기여도 분석 보고서는 GA 360에서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존 GA 360 사용자라면 신규 속성 보고서는 큰 장점이 없지만 기존 GA 무료 버전 사용자가 일부 GA 360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2개의 속성을 만들어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엔 신규 속성에서 GA 360의 일부 기능을 사용해보고 유료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기를 원하는 듯 합니다. 하지만 무료 버전에서도 충분히 잘 사용할 수 있다면, 그걸로 충분할 수도 있습니다.
'Google Analytics UA'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 페이지 스크롤 추적하기 1편 - 스크롤 추적이 왜 중요할까? (0) | 2019.12.02 |
---|---|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활용하는 Data Layer 란? (2) | 2019.11.26 |
GA 교차 도메인 추적 (GTM 방식) 1 : Client-ID와 필요성 (0) | 2019.08.26 |
GA User-ID 를 활용한 교차기기 분석 1 : User-ID 정의 및 활용 (0) | 2019.08.22 |
구글 애널리틱스 유튜브 영상 조회 트래킹하기 - 2 (0) | 2019.08.09 |